마리아 막달레나를 읽으며 들은 생각은 `쉽다!`였다. 파우스트를 먼저 읽어서 그런지 등장인물간의
관계도 쉽게 파악이 되었으며 인물들의 성격 또한 명확하였기 때문이다. 오히려 제목인 마리아 막달레나에 대해서 많은 의구심이 일었고 그 이름을
어떻게 보아야할지가 희곡을 읽고 이해하는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원래 `클라라`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었던 마리아 막달레나는
그 제목의 변경에서부터 이미 제목에 관한 논의점을 야기하고 있다. 마리아 막달레나는 성경에서 등장하는 인물인데 그녀의 이름이 직접적으로 등장한
곳은 예수의 부활에서 보여 진다. 신학사적으로 마리아 막달레나는 일곱 마귀가 들어 예수가 마귀를 쫓아냈던 여인과 동일하게 보았고 그녀는 죄 많은
여인이었으나 그 죄를 회개하고 예수께 돌아와서 예수부활의 첫 증인이 된 여인으로 나타내어졌다. 자료를 찾아보니 신학사적으로도 마리아 막달레나가
온전히 순수한 여인인가 아니면 일곱 마귀가 들었던 여인인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의가 되고 있었다. 그러나 신학사에서는 마리아 막달레나를 창녀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다. `마리아 막달레나`를 저술한 프랑스의 신학자 브룩베르제도 예부터 전해온 말을 전제로 동일인이라 했고 300만부나
팔렸다는 아워즐러의 `위대한 생애 이야기`에도 창녀로 암시돼 나온다. 마리아 막달레나가 한국에서의 `평강공주`나 `논개`와 같이 특정이미지로
다가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비기독교적 문화에서 자라온 사람이 그 이미지를 상상하기는 조금 무리가 있어 보인다. 그림이나 성서주해에서 마리아
막달레나의 이미지는 그녀가 죄를 지었던 순간의 이미지와 참회한 후의 이미지를 서로 필요에 따라서 인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즉, 그녀는 성녀로
그려지는가 하면 창녀로 그려지기도 하는 것이다. 몇몇 만화나 그 외의 작품에서 마리아 막달레나의 이미지는 성서의 해석에 의존하기보다는 현대의
일반대중이 생각하는 이미지를 보여주는 데 그들은 마리아 막달레나를 `창녀`로 보는 경향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