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FeRed's Conundrum of Life :: [아바쿠스] 노드에 국부좌표계 부여하기 (지역좌표계)


                     







노드에 국부좌표계를 부여하기

노드의 좌표계에 국부좌표계를 부여할 경우 편리하게 해석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노드좌표계는 노드에만 사용되며 아래의 경우에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국부좌표계를 추가하기 전에 개별 노드나 노드셋에 국부좌표계를 정의할 수 있다.

만약 노드 좌표계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면 입력좌표계는 국부좌표계의 정의에 따라

첫째 노드를 변환시키고 노드좌표계 역시 변환시킨다.

노드 국부 좌표계 정의하기

3개의 점으로 노드좌표계를 정의할 수 있다. a는 국부좌표계의 원점이고 a, b를 잇는 직선이 X'이 되며

a, c를 잇는 직선이 Y'축이 된다.

Figure 2.1.1–1 노드 좌표계


만약 단 하나의 점(원점)만 주어지는 경우 아바쿠스는 이동만 필요한 것이라고 추정하여 좌표계의 원점만 이동시킨다.

두개의 점이 주어지는 경우 Z'방향은 Z축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이경우 X'축은 XY평면에 투영된다.

노드 좌표계를 다른 노드좌표계로 변경하려면 전역좌표계로 돌린 후 새로운 노드좌표계를 정의하면 된다.


Input File 예시 :  노드좌표계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옵션이 필요하다.

*SYSTEM

Xa, Ya, Za, Xb, Yb, Zb

Xc, Yc, Zc

예를 들어 아래의 입력에서 노드 1에서 3은 첫번째 노드좌표계에 속해 있으며

노드 4, 5는 두번째 노드좌표계에 속해있다. 그리고 노드 6, 7은 전역좌표계에 속해있다.

*SYSTEM
0, 0, 0, 5, 5, 5

*NODE
1, 0, 0, 1
2, 0, 0, 2
3, 0, 1, 2

*SYSTEM
2, 3, 4

*NODE
4, 0, 0, 1
5, 1, 4, 0

*SYSTEM

*NODE
6, 1, 0, 1
7, 0, 4, 2

파트 정의에서 노드좌표계 정의하기

파트 생성시 노드좌표계를 정의할 때는 정의한 파트내에서만 영향력을 미친다. 다른 파트에 있는 노드들은 영향받지 않는다.

파트 좌표계에 대응하여 국부좌표계를 정의한다.


개별노드에 대해 노드의 좌표값을 통한 정의

개별노드는 노드 번호와 좌표를 이용하여 정의된다. 아바쿠스는 axisymmetric 모델을 제외하고는 오른손법칙을 따르는 직교좌표계를 사용한다.

모델정의 단계에서는 노드좌표값이 파트의 국부좌표계의 영향을 받는다.

Input File 예시 :  
*NODE

노드정의값을 파일에서 읽기

노드정의는 아바쿠스외의 파일에서 읽을 수 있다. 구문에 관한 사항은 매뉴얼 1.2.1 섹션 입력구문법칙을 읽으면 된다.

Input File 예시 :  

*NODE, INPUT=file_name

노드좌표계를 위한 국부좌표계 정의하기

국부 직교, 원통, 극 좌표계를 정의할 수 있다. 아래의 Figure 2.1.1-2를 참조하면 된다.

Figure 2.1.1–2 Coordinate systems.



이 좌표계는 전부 국부적인 노드정의에 기인한다. 

노드 데이터를 읽으면서 좌표계는 직교좌표계로 변환된다.

만약 노드좌표계가 영향을 미친다면 국부직교좌표계는 노드 좌표계에 의해 정의되고 결과적으로는 전역좌표계로 변


Input File 예시 : 

직교좌표계 생성시
*NODE, SYSTEM=R

원통좌표계 생성시

*NODE, SYSTEM=C

극좌표계 생성시

*NODE, SYSTEM=S

예를 들어 아래의 구문은 좌표값이 (10cos20°, 10sin20°, 5.)인 노드를 원통좌표계내에서 정의하는 것이다.

*NODE, NSET=DISC, SYSTEM=C

1, 10., 20., 5.

만약 아래의 구문이 노드정의보다 앞에 나타나면 노드의 좌표계는 처음에는 직교좌표계로 변환될 것이고 다음에는 *SYSTEM 구문의 영향을 받아 전역좌표계로 변환될 것이다.

*SYSTEM
2, 0, 2


아름다운 인터넷 문화를 위해 댓글을 남겨주세요. -0-;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