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FeRed's Conundrum of Life :: 타이거 마더(tiger mother), 과연 복일까요, 독일까요....?

  
Theme
엄격한 엄마, 즉 타이거 마더(tiger mother)의 효과


Comments
항.상. 하는 이야기, 육아... 정말 힘드네요^^;;



베이비 트리에서 관심을 가지고 읽는 몇몇 섹션과 글들이 있습니다.
지난 블로깅에서 소개해 드린 바와 같이
아이의 기질(terperament)에 따른 교육법과 육아법을 소개한다 하여
상당히 관심과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던 와중에, 법륜스님의 엄마수업만큼이나 재밌는 책인
타이거 마더 소개와 함께 흥미로운 내용의 글이 올라와 있어 소개합니다.
상당히 논란의 여지가 있는 내용이지만 흥미롭네요.
한 번 올려봅니다, 전문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http://babytree.hani.co.kr/?mid=media&category=7724&document_srl=35168

제목: 타이거 마더 신드롬이 아이들 망친다

**
사실 제목에서부터 박진균 전문의는
타이거 마더가 좋은 것이 아니다, 라는 전제를 깔고 있네요.

그러나 순전히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정말 기질별로 모든 아이들이 다르다면
사실상 어떤 아이에게는 타이거 마더와의 적합성(fitness)이 높을 수 있으니
제목을 타이거 마더 신드롬이 아이들 망칠 수도 있다, 로 하셨어야 하지 않을까요?
저의 짧은 소견입니다요
사족은 그만 달고 본문 요약으로 들어가겠습니다**

--

올해 4월, 미국 예일대 법대교수인 에이미 추아의
‘타이거 마더’라는 책이 우리나라에서 번역 출간되었다.
소위 동양식 스파르타 교육이라 할 수 있는 추아 교수의 양육은
우리나라의 극성 엄마들에게도 큰 관심을 끌었을 것이다.
그녀의 교육 모토는 다음과 같다.

체육 이외의 전 과목에서 1등을 놓치는 것,
이성친구와 데이트를 하거나 학교에서 노는 것,
피아노나 바이올린을 연습하지 않는 것 등을 절대 용납하지 않는다

매우 숨 막히는 강압식 교육이지만,
그녀는 자신의 교육방식이 중국에서는 너무나도 당연한 것임을 이렇게 주장한다.

중국인에게 부모란 타협할 여지가 없는 대상이다.
부모는 그저 부모이며, 자식은 부모에게 모든 것을 (별로 가진 것이 없다고 해도)
빚지고 있기 때문에 부모를 위해서는 무엇이든 (그것이 자신의 삶을 파괴한다고 해도) 해야 한다.

한편 일리가 있는 말이다.
우리에게도 낯익은 명구가 아니던가!
부모가 모든 것을 주었으니, 부모에게 절대 복종해야 한다는 논리인 것이다.

너무 이야기가 무거워졌는데,
다소 거창한 육아 철학적 이야기를 과학적으로 조금 따져보려 한다.

추아 교수는 자신의 교육법으로 두 딸을 키웠으며,
올해 큰 딸은 예일, 하버드 등의 명문대로부터 입학허가를 받았고,
작은 딸은 바이올린니스트로 줄리아드 음대에 갈 예정이란다.

결과도 너무 훌륭하지 않은가?
사실 이런 종류의 육아교육 서적들은 우리 서점가에 차고도 넘친다.
딸을 이런 방식으로 키워서 미국 동부 명문대에 보냈다는 이야기,
성경적 양육법으로 이른 나이에 사법시험에 아들을 합격시켰다는 이야기 등등,
너무나도 우리에게 익숙하다.

그런데 내가 이런 양육 성공기에 조금 부아가 나는 것은 왜일까?
물론 내가 어려서부터 불평이 많고
부모의 말을 고분고분 잘 듣지 않는 아이였기 때문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양육 성공기를 그대로 자녀에게 적용하는데서 오는
문제점에 대해 공감하는 부모님들도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 

먼저, 아이의 성공이 자신의 육아방법에 오로지 기인한다고 주장하는
'기인 오류'를 지적
할 수 있다.
A라는 사건이 B라는 사건의 원인이라고 주장하려면
매우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예를 들어 부모가 머리가 좋아서 유전적으로 타고나게
아이도 머리가 좋은 것을 가지고,
부모가 양육을 잘해서 머리가 좋은 것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하다는 것이다.
결국 아이의 성공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는 대표적인 2가지 인자,
타고난 유전적 소인과 환경적 영향을 분별하지 않은 채
환경적 영향만으로 성공을 해석하는 것은 무리한 결론
이라는 것이다.

이즈음에서 내가 '기질별 육아'를 주장하는 이유를 설명해야 하겠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육아서들을 보면 아이의 성공 혹은 실패를 전적으로
'어머니의 양육'의 결과로 귀결 짓는다.
아이가 공부를 잘하는 것은 어머니의 교육 성공 사례로,
아이가 틱 장애가 생긴 것은 어머니의 양육 잘못으로 해석되며,
심지어 아이의 성품 전체도 어머니의 양육의 결과로 생각하곤 한다.
이는 잘못이다.
나는 우리 사회가 아이의 타고난 기질이나 재능에 대한 이해는 너무나도 부족하고,
부모의 양육 및 가정의 환경적 영향은 너무 과대평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의 오류는 여러 가지 폐해를 낳는다.
먼저 아이가 공부를 못하거나 정신과적 어려움이 생기면,
어머니들은 과도한 죄의식에 사로잡힌다.
'내가 뭘 잘못해서 아이가 저렇게 되었을까?'하고 심히 걱정하는 것이다.

둘째로 아이의 기질이나 재능과 무관하게,
부모들은 자신의 생각대로 무리한 공부 및 성품을 아이에게 강요
한다.
예로써, 그림에 재능이 있는 아이를 싫다는 영어학원에 억지로 넣는 것이나,
타고나게 내향적인 수줍은 아이에게
외향적, 사교적이 되라고 압력을 가하는 것과 같이 말이다.
이는 넓게 보아 우리사회에 사교육 시장이 계속 번창하고,
아이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소아정신과에 오게 만드는 중요한 이유가 된다.

냉정한 이야기가 될지 모르지만,
부모가 아이의 미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사실을 부모들은 인식
해야 한다.
미국의 행동유전학자인 데이비드 로위는
그의 책 “The limits of family influence(가족 영향의 한계)”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대부분의 근로자 가정 및 전문직 가정의 부모들이,
아이가 향후 어른이 되어 가지게 될 특정 성향에 대해 별로 영향을 주지 못한다.(7쪽)

사람(아동)은 환경에서 노출되는 정도가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 다양한 환경적 노출이 그(아동)의 심리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는 기능적으로 거의 동일하다.(23쪽)

이를 다시 풀어 쓰면, 
아이는  자신의 타고난 성향 및 재능을 발휘하는 쪽으로 자라나게 된다는 것이다.

다소 극단적인 주장이라는 것을 나도 인정한다.
현재 행동유전학계에서는 타고난 기질 및 지능이 아이의 미래를 결정하는 부분이
약 50% 정도라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모가 그 나머지 절반의 성공을 위해 노력해야 할 부분이 분명히 있다.
그러나, 여기서 경계해야 할 것은
자신의 아이에 대한 이해 없이 무분별하게
다른 아이의 성공기를 모방하는 것은 소중한 시간과 자원의 낭비라는 것이다.

오늘 아침, 아내와 차를 마시던 중 아내가 말했다.

애를 키워보니 결국 공부는 엄마가 해줄 수 있는 게 아니란 걸 알았어!
공부는 결국 자기가 하는 거지. 아이도 공부 잘하면 칭찬이야 받겠지만,
공부만 하는 게 썩 즐겁지는 않잖아? 엄마가 해 줄 수 있는 것은 '성품'인 것 같아!

나는 부모가 해 줄 수 있는 것이 성품보다 '관계'일 거라고 생각한다.
다음 시간부터는 '기질(temperament)'에 대해 본격적으로 이야기해 보겠다.

---

어떻게 읽으셨습니까, 여러분? ^^

부모는 부모이며, 자식은 부모를 위해 무엇이든 시키는대로 해야한다, 라는 논리.
개인적으로 전, 이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인생의 선배로서 조언을 해 주고,
박진균 전문의가 쓴 것 처럼 '관계' 맺음,
더 나아가 관계를 바탕으로 한 신뢰와 가족으로서의 응집성을 통해
'옳게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한다는 것의 바운더리'를
언행으로 보여주는 것
이 부모이지,

身體髮膚 受之父母
부모가 모든 것을 주셨으니 부모에게 절대복종, 은 아니지 싶다는거죠.

그.러.나.
또 다른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생각의 바운더리, 옳고 그르다는 것의 바운더리,
결국 좋은 부모-자식 관계에서의 신뢰를 바탕으로
인생의 목표와 비전, 지향점을 보여주는 측면에 있어서는
'타이거'적인 측면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법륜스님의 엄마수업에서도 그러셨죠,
일정부분에서 '몰인정한 사랑'을 해야한다고요.

위의 글에서 나온 것 처럼
옆집 누가 하니까 너도 해라,
옆집 누가 이 학원 다녀 서울대 갔으니깐 너도 그 학원 가라,
내가 부모이니 넌 우리 말을 따르라, 식의 타이거 부모가 절대 아니라

어린 시절의 옳고 그름의 판단,
(도올 김용옥 선생의 말처럼) 회색분자가 아닌 중용의 도리를 가지는 것,
인생에 있어서의 판단 지침 등을 가르침에 있어서만큼은
타이거 아빠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이 연사, 강력히 주장합니다.
박진균 전문의도 관계의 중요성을 이야기 한 것을 보면
저와 유사한 생각을 가진 것이 아니었을까요...? ^^

세상을 바라보는 바른 시각을 심어주는
[멘탈] 타이거 파더 앤 마더
가 되겠습니다.

글이 너무 길어졌네요, 그럼 이만.
 


세상을 바라보는 예쁜 안경을 쓰신 잠언군에게...

 





아름다운 인터넷 문화를 위해 댓글을 남겨주세요. -0-;
AND